강아지의 수면시간은 얼마가 적당한 것일까요? 어쩔 때 보면 잠을 너무 많이 자는 것 같아 걱정이 되고 또,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 같아 걱정이 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하루에 강아지는 잠을 얼마나 자야 정상적인 것인지 일일 수면시간은 몇 시간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아지는 하루에 몇 시간 자나요?
강아지의 수면시간은 견종이나 크기, 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강아지들은 자신들의 수면 패턴을 필요한 활동량에 맞춰서 조절한다고 합니다. 일반 가정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은 외부 활동을 주로 하는 탐지견과 같은 개들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잠을 자는 데 사용한다고 합니다.
보통 성견은 약 12~14시간을, 어린 강아지는 약 17~18시간 정도 잠을 잡니다. 나이든 반려견의 경우는 성견보다 더 잠을 자는 시간이 길 수 있습니다. 노견은 병이 든 상태가 아니어도 신체 기능이 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피로해져 수면 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과 달리 강아지들은 수면 시간 동안 연속해서 잠들지는 않습니다. 개들은 자다가 깨어서 활동을 하고 다시 잠드는 습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중 대형견들의 경우는 다른 개들에 비해 더 많은 시간 잠을 잔다고 합니다. 대형견 중에서 마스티프, 세인트 버나드 등은 몸무게가 많이 나가고 큰 강아지들은 그만큼 조금만 활동해도 소모하는 에너지가 많기 때문에 잠을 많이 잔다고 합니다. 한편 실내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의 경우 지루함을 느껴 잠을 더 많이 잘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려견에게 다양한 장난감이나 산책의 기회를 주고 활동량을 늘려주면서 지루함을 해소해주면 지루해서 잠을 자는 일은 많지 않을 겁니다. 또한 적당한 활동량은 숙면을 취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가거나, 새로운 가정으로 입양을 가는 등 일상적인 생활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을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때 강아지들은 우울증을 겪으면서 수면 시간이 늘어나는데요. 그러면서 활동량이 떨어지고 식욕도 줄어들고 체중도 빠질 수 있습니다. 환경의 변화를 겪은 반려견이 위와 같은 행동을 보인다면 주의 깊게 살필 필요가 있습니다. 우울증 외에도 신체 어딘가에 통증을 가지고 있거나 인지장애 증후군(치매), 호르몬 질환 등의 이상이 있을 때면 수면 리듬이 바뀌기 때문에 자는 시간이 늘거나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면 시간이 눈에 띄게 변했다고 느껴진다면 반려견의 몸 상태가 좋지 않은 것일 수 있으니 상태를 전반적으로 점검해봐야 합니다.
강아지의 질 높은 수면을 위해서는 장소도 중요합니다. 강아지는 외부 자극에 쉽게 잠을 깰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용한 장소를 수면 장소로 지정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강아지가 평소에 편안하게 여기는 방석이나 침대 등을 특정 장소에 놓아두면 편하게 잠을 잘 수 있습니다. 한 가지 기억해두셔야 하는 것은 가급적이면 그 자리를 바꾸지 않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화장실, 즉 배변패드와 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아줘야 합니다. 왜냐하면 강아지들은 잠자리를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강아지들도 꿈을 꾸나요?
강아지나 사람이나 똑같이 일정하게 수면 패턴이 존재한다고합니다. 수면 패턴은 앝은 잠을 자는 렘수면과 깊은 잠을 자는 비렘수면으로 나누어집니다. 이런 패턴은 잠을 자는 동안 반복해서 나타나게 됩니다. 사람에 비해 강아지의 경우는 렘수면기가 전체 수면의 80%에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작은 소리에도 벌떡 일어나서 주위를 경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얕은 잠을 자는 렘수면기에 강아지들도 꿈을 꾼다고 합니다. 이때 심한 악몽을 꾸면 울거나 벌떡 일어나 어딘가로 숨기도 합니다.
하지만 동물의 꿈은 사람의 꿈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사람은 시각에 80%를 의지하여 시각적인 꿈을 꾸지만 강아지는 시간보다는 청각과 후각에 의지하여 꿈을 꾼다고 합니다. 그래서 꿈을 꿀 때 후각적인 꿈을 많이 꾸는데요. 연구결과에 따르면 강아지 역시 사람처럼 렘수면 시기에 중뇌의 해마나 편도체가 활발히 활동하며 기억을 정리하고 정착시킨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이나 강아지도 푹 자야지만 기억능력과 학습능력도 향상되는 것입니다.
'지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심장사상충 증상, 예방법, 치료법 (0) | 2022.03.16 |
---|---|
강아지가 먹으면 안되는 음식 7가지 총정리! (0) | 2022.03.13 |
강아지가 핥는 이유, 무슨 심리인 걸까? (0) | 2022.03.10 |
강아지 발바닥 관리/ 고소한 발바닥 냄새가 세균이라니? (0) | 2022.03.08 |
강아지 피부관리의 중요성/ 강아지 피부에 좋은 음식 (0) | 2022.03.07 |
댓글